직업심리학 : 개인의 직업성향에 맞는 이상적직업 선택하기
직업심리학은 생애 전반에 걸쳐서 개인에게 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활동에 관심을 두고 있는 융합적 관점의 학문입니다. 인간의 진로 발달 단계에 맞춰서 개인의 능력과 정성에 맞는 진로 선택의 길잡이가 되는 직업심리학은 개인의 직업 성향을 파악하여 이상적 직업 선택에 도움을 줍니다.
직업심리학의 정의 및 역사
직업심리학의 정의는 인간에 중점을 두고 직업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개인의 관점에서 직업탐색, 직업 결정, 직업적응, 여가, 직업 전환 등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직업적 문제를 탐구하고 직업 활동, 실업 위기, 실업, 은퇴, 은퇴 후의 개인의 직업적 행동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직업심리학의 본질은 직업 선택 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 것인지, 직업 생활에서 삶의 질을 추구하면서 여가 시간을 활용 관리하고 또 은퇴 이후 진로 탐색에 관한 직업적 행동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입니다.
파슨스(Frank Parsons, 1854~1908)는 직업심리학의 창시자 역할을 한 학자로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을 위해 개인을 이해하고 직업을 이해한 후 과학적 추론을 통해 합리적 매칭을 이루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는 파슨스의 3 요인 이론을 바탕으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1977년 직업 사전을 발간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직업심리학의 중요성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1998년 말 외환위기로 인한 대량실업 사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직업상담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이슈가 계기가 되어 직업심리학이 생겨났습니다.
직업심리학자의 주요 이론
긴즈버그(Ginzberg)의 발달 이론
- 환상기(fantasy period) : 놀이 활동(play activity)이 점점 일-중심적(work-oriented)으로 변화하며, 특정 활동에 대한 선호를 처음으로 보이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직업에 대한 역할이 놀이 활동을 통해 나타나기도 하며, 직업 세계에 대한 가치판단이 최초로 반영되기도 합니다.
- 잠정기(tentaive period) : 좋아하는 것(likes)과 좋아하지 않는 것(dislikes)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흥미 단계, 자기 능력을 깨닫게 되는 능력 단계, 자신의 직업 스타일에 대해 보다 명확하고 분명한 이해를 하는 가치 단계, 직업 선택을 결정하고 진로 선택 시 뒤따르게 되는 책임 의식을 깨닫는 전환 단계의 4단계로 나누어집니다.
- 현실기(realistic period) : 개인의 진로 선택을 2-3가지로 좁혀 나가지만 아직 확실한 결정 상태가 아닌 탐색 단계, 특정 직업 분야에 몰두하게 되는 구체화 단계, 각자가 직업을 선택하거나 혹은 특정 진로에 맞는 직업훈련을 받는 특수화(정교화) 단계의 3단계로 나눕니다.
파슨스(Parsons)의 특성-요인 이론
개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는 관점이며, 직업 선택은 직선적인 과정이며 특성과의 연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합니다.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 간 매칭이 잘 될수록 성공 가능성은 높고 만족도도 높으며, 직업 세계는 특정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근로자)을 필요로 하는 이론입니다.
크롬볼트(Krumbolt)의 진로 결정요인
-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요인 : 유전적 요인 또는 특별한 능력 요인이란 개인의 진로 기회를 제한하는 타고난 특질을 말하며 인종, 성별, 지능, 신체적인 모습과 특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과 사건요인 : 환경에서의 특정한 사건이 개인의 활동, 진로 선호, 기술 개발 등에 영향을 준다는 관점으로 취업 성공률이 높은 직종, 노동법, 교육훈련이 가능한 분야 등이 포함됩니다.
- 학습경험 : 개인이 과거에 학습한 경험은 현재, 미래의 직업적·교육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 과제접근 기술: 개인이 환경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면서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이나 경향으로 문제해결 기술, 일하는 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홀랜드(Holland)의 6가지 흥미 유형
- 현실형 : 기본적으로 사물 지향적이며 몸으로 하는 활동을 즐겨하고 도구를 다루는 것이 능숙합니다. 사교적인 성격이 아니므로 같은 타입인 현실형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를 선호합니다. 운동선수, 농부, 목수, 블루칼라 노동자 등이 현실형에 해당합니다.
- 탐구형 : 사람보다 아이디어를 강조하고 추상적인 사고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냉철하다고 느낄 수 있을 만큼 사회적 관계에 무관심합니다. 물리학자, 수학자 등 과학자 직업을 지닌 대부분의 사람이 탐구형에 해당합니다.
- 예술형 : 관습과 보수성을 거부하며 창의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이들은 보통 사람들에 비해 민감하고 감정이 풍부한 편이며, 정서 장애가 많고 자기중심적 사고를 자주 보입니다. 대부분의 예술가(화가, 음악가, 시인 등)가 해당합니다.
- 사회형 : 사람들과 어울려서 하는 일을 좋아하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찾아서 기꺼이 돕습니다. 대인관계 기술이 많이 요구되는 직업 현장에서 일하는 것이 좋으며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상담사 등이 사회형의 대표적 직업군입니다.
- 진취형 : 타인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적 외향적 성격의 소유자들이며, 권력 또는 사회적 지위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진취형 유형으로는 정치인, 기업가, 자동차 세일즈맨 등이 해당합니다.
- 관습형 : 일 처리가 꼼꼼하고 정밀한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주로 숫자를 다루는 일과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은행원, 회계사, 비서 등이 해당합니다.
슈퍼(D. Super)의 직업발달 단계와 과업
- 성장기 (Growth Stage, 출생~14세) : 이 시기는 아동들이 가정과 학교와 같은 사회 집단에서 중요한 타인에 대해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아개념을 발달시킵니다. 어린 시기일수록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사회참여와 현실을 검증하는 능력이 점점 발달시키며 본인의 흥미와 능력에 대해 눈을 뜨게 됩니다.
- 탐색기 (Exploration Stage, 15~24세) : 이 시기는 학교생활, 여가 활동 또는 파트타임제 일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해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아를 인식하고 직업을 탐색해 나갑니다.
- 확립기 (Establishment Stage, 25~44세) : 이 시기에 개인은 본인의 직업 세계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강화하면서 지위등을 획득하게 됩니다.
- 유지기 (Maintenance Stage, 45~64세) : 이 시기에 개인은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즐기며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합니다.
- 쇠퇴기(Decline stage, 65세 이후~) : 이 시기에 개인은 정신적, 신체적 기능이 쇠약해짐에 따라 직업 현장에서 은퇴하게 되고 은퇴 후의 새로운 활동을 찾게 됩니다.
직업심리학의 전망
요즘 현대인들의 커리어 개발은 일정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이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평생 가졌던 직업의 개수를 조사하였더니 1인당 평균 14개를 웃돌고, 평균적으로 한 직장에서 근무한 기간은 4년 정도에 불과하다는 놀라운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요즘 우리 주변에서도 여러 이유로 여러 직업을 동시에 갖고 계신 분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평생직업이라는 용어가 사라진 지도 오래되었습니다. 향후 직업심리학의 활용도는 점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직업심리학은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직업 선택의 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개인과 직업을 매칭하는 기본 척도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