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나누는 정보/상식이야기

근로계약서 작성법 2024최저임금 주휴수당이 궁금하다면

by 올셋 2023. 12. 21.

근로계약서 작성법 2024최저임금 주휴수당이 궁금하다면

 

알고 계신가요?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서면으로 체결하고 이를 교부하지 않으면 500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되며, 만약 기간제·단시간근로자인 경우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 알고 계신가요? 근로계약서는 임금,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하는 것으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하기 전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근로계약서 작성에서 꼭 포함해야 할 내용과 함께 표준근로계약서 작성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법
일하기전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근로계약서 작성의 필요성을 설명한 자료

 

표준근로계약서에 포함해야 할 내용

 

1. 근로 계약 기간: 노사가 협의하여 결정하는 일을 하기로 한 기간을 명시합니다.

 

2. 근무장소:  일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를 명기합니다.

 

3. 업무의 내용: 어떤 일을 할지에 대한 내용을 기재합니다.

 

4. 소정근로시간: 노사가 법정근로시간 내(하루 8시간, 주 40시간)에서 하루에 몇 시간을 일할지 정한 시간을 기재하며 휴게시간은 4시간에 30분, 8시간인 경우 1시간 이상을 주도록 소정 근로시간 내에서 기재합니다.

 

5. 근무일/휴일: 일주일 중 어떤 날에 근무할지를 명기하며, 주 중 근무하기로 한 날을 만근 하였을 경우 부여하는 유급휴일(주휴일)을 어느 요일로 할지 결정하여 명기합니다.

 

6. 임금: 임금을 시간급으로 정할지, 주급으로 정할지, 월급으로 정할지 결정하여 그 금액을 명기합니다.

■ 상여금이 있으면 그 내용 및 금액에 대해서도 기재합니다.

■ 가족수당, 자격증 수당 등 지급하기로 한 수당이 있으면 해당 내용에 대해 기재합니다.

■ 임금을 매월 언제 지급할 것인지에 대해 기재합니다.

■ 임금을 계좌로 지급할 것인지 등에 대해 노사간 협의 후 기재합니다.

 

2024년도 최저임금은 2023년보다 2.5% 인상된 9,860원으로 모든 사업장에서 내년 2024년 1월 1일부로 시행됩니다.

 

7. 연차유급휴가: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부여합니다.

■ 1년간 총 소정 근로일의 80%이상 출근자에게 15일 부여, 1년 초과 매 2년마다 1일씩 가산, 한도는 25일이 최대입니다.

■ 1년 미만 또는 1년간 80% 미만 출근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을 부여합니다.

 

8. 사회보험 적용여부: 4대 사회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적용에 대한 해당 내용을 기재합니다.

 

9. 근로계약서 교부: 사업주는 근로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본 계약서를 사본하여 근로자의 교부요구와 관계없이 근로자에게 교부하도록 합니다.(근로기준법 제17조에 명시)

 

10.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을 지키고 성실하게 이행하여야 합니다.

 

11. 기타: 근로계약서를 작성함에 있어 위 계약에 정함이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령에 의함을 명시합니다.

 

 

★ 표준근로계약서 ★ 서식이 필요하다면

 

        ↓ ↓ ↓ ↓ ↓

 

https://www.moel.go.kr/mainpop2.do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__________(이하 “사업주”라 함)과(와) __________ (이하 “근로자”라 함)은 다음과 같이 근로계약을 체결한다. 10.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www.moe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