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학 불안의 종류 및 방어기제
정신분석학에서 방어기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입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은 3가지 유형의 성격 구조를 가진다고 하였고 원초아, 자아, 초자아 사이에서 갈등이 통제되지 못하는 수준이 될 때 불안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때 우리가 느끼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아의 방어기제가 작동하게 됩니다.
불안의 종류
- 현실 불안 : 외부에서 존재하는 실제적 위협에 대해 느끼는 불안으로 현실에서 발견되는 위협 요소를 제거하면 불안은 해소가 됩니다.
- 신증증적 불안 : 원초아(id)와 ego(자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으로 원초아의 세력이 커지고 강해지면서 자아가 원초아의 강한 욕구 및 감정을 통제하거나 누를 수 없는 두려움에서 생기게 됩니다.
- 도덕적 불안 : ego(자아)와 초자아(superego)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으로 부모가 지니고 있는 가치에 위배되거나 도덕적 규범을 어기게 되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두려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방어기제의 종류
- 억압(repression) : 받아들이기 힘든 원초적 욕구 또는 불쾌하였던 경험이 의식 위로 나타나지 못하도록 무의식 속에서 눌러주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의식적으로 발산을 저지하는 억제(supression)와 구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 별로 좋아하지 않는 친구와의 저녁 식사 약속을 깜빡 잊고 약속을 어기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것은 나에게 싫었던 감정은 생각을 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잊어버리게 된다는 억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투사(projection) :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자기감정이나 욕구를 제3자, 즉 타인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시어머니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며느리가 자신의 적대감을 시어머니에게 투사하여 시어머니가 자기를 미워하는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 합리화(rationalization) : 좋지 못한 성과 또는 실패했던 좋지 못한 상황을 그럴듯한 이유를 붙여 정당화함으로써 불안을 피하려는 방식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예시는 여우와 신포도 우화입니다. 비슷한 예로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지 못한 것에 대해 그 회사의 단점을 찾아 자신의 취업 실패 경험을 정당화하는 것입니다.
- 대치/치환(displacement) : 본인의 욕구 및 감정을 위험한 대상에게 표출하는 방법 대신, 보다 안전한 곳으로 감정을 옮겨 대리적으로 충족하는 기제입니다. 예를 들면, 직장에서 상사에게 좋지 않은 얘기를 들은 사람이 집에 와서 아내 또는 어린 자녀에게 짜증을 내고 화풀이하는 것입니다.
-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 정서적 주제를 지적 활동의 분야로 전환하여 몰두하는 것으로 주로 종교, 철학, 문학과 관련된 활동이 해당합니다. 이러한 활동 영역은 주로 추상적인 활동으로 여겨집니다. 예를 들어, 좋아하던 남자에게서 거절당한 여자가 현대 남성의 심리와 이성 관계에 대한 학문적 분석을 하면서 자신의 고통을 벗어나고자 하는 것입니다.
- 전환(conversion) : 마음속 내적 갈등이 신체 감각 기관이나 근육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표현 방식입니다.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가 남편을 보고 갑자기 시력 상실을 겪게 되거나 한 쪽 팔이 마비되는 증상 등이 전환의 예입니다.
- 취소(undoing) :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한 뒤, 본인의 끔찍한 행동을 무효화하고 자신은 죄의식과 불안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술에 취하면 폭행하는 남편이 다음 날, 선물과 꽃바구니를 가지고 퇴근하여 자기 행동을 무효로 하고자 하는 기제입니다.
- 부인(denial) : 자기의 사고 또는 감정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거나 심하게 왜곡함으로써 괴로운 현실을 부정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너무나도 사이가 좋았던 부부에게 어느 한 배우자의 사망은 받아들이기 힘들고 심지어는 배우자의 죽음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것이 됩니다.
-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스스로 인정하고 수용하기 힘든 심리상태와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불안을 감소하는 방법입니다. 남편을 너무나도 혐오하는 아내가 남편에게 반항하기보다는 오히려 납득되지 않는 순종의 자세를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아내는 결혼 생활이 깨어질 수도 있다는 위협에서 벗어나고 동시에 남편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 퇴행(regression) : 예전의 미성숙한 발달 단계로 돌아감으로써 현재의 불안감과 책임감을 덜어보려는 행동입니다. 보통 어린 동생이 생겼을 때 형은 이미 하고 있지 않던 우윳병빨기 도는 대소변 조절 실패 등의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 동일시(identification) : 타인의 특징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면서 불안감과 좋지 않은 감정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할 때, 어린 남아는 힘센 아버지의 행동을 따라 함으로써 거세불안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아버지의 강력한 힘을 본인도 가졌다고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 승화(sublimation) : 공격적인 욕구나 성적 욕망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전환해서 행동하는 것입니다. 보통 예술 작품활동으로 성적 욕구를 표현하는 것이 해당합니다.
- 해리(dissociation) : 갈등 상황에 놓여있는 본인의 인격 일부를 다른 부분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 인물은 지킬박사와 하이드입니다.
- 전환(conversion) : 마음속 내적 갈등이 신체 감각 기관이나 근육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나는 표현 방식입니다. 가정폭력 피해자인 아내가 남편을 보고 갑자기 시력 상실을 겪게 되거나 한 쪽 팔이 마비되는 증상 등이 전환의 예입니다.
- 신체화(somatization) : 느끼고 있는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가 신체 감각 기관이나 근육계가 아닌 다른 부위에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명절증후군으로 명절이 다가오면 수많은 며느리가 소화 불량과 허리 통증 등을 겪게 되는 증상입니다.
- 행동화(acting out) : 충족되지 못한 무의식적 욕구나 충동이 야기하는 심리적 갈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미루지 않고 직접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어기제의 분류
방어기제는 성숙도의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집니다.
- 성숙한 방어 : 승화, 유머, 이타주의
- 신경증적 방어 : 억압, 합리화, 반동형성, 치환
- 미성숙한 방어 : 퇴행, 신체화, 행동화, 동일시
- 자기애적 방어 : 부인, 투사, 분리
맺음말
위에 언급한 여러 방어기제 중 성숙한 방어기제는 본인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적응하는 것에 도움을 주지만 다른 유형의 방어기제는 지나치게 사용했을 때, 분명 부적응적이고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삶 속에서 많은 불안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위 내용을 잘 숙지하셔서 개개인이 가진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삶에서 경험하게 될 불안을 성숙하고 지혜롭게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