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흥미로운 심리실험 사례 사회심리학 실험 심리실험

by 올셋 2023. 10. 6.

흥미로운 심리실험 사례 사회심리학

 

심리실험은 인간 행동과 심리를 탐구하는 중요한 연구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인간의 특성과 반응,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사회 심리학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흥미롭고 유의미한 심리실험 사례 및 주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구니에 담겨 있는 마시멜로 사진

밀그램의 복종 실험(Milgram's Obedience Experiment)

 

1960년대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이 실험은 사회적 복종과 권위에 대한 인간 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실험 참가자는 "교사"라는 역할을 맡았고, 그들에게는 가짜 전기 충격을 주는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 주어진 과제였습니다. 다른 참가자인 "학습자"는 기억력 실험 대상으로, 기억 부분이 틀릴 때마다 전기 충격을 받게 되었습니다. 실제로는 학습자는 연기였고, 전기 충격은 가짜였지만 교사들은 이를 알지 못했습니다. 교사들은 연구자의 지시에 따라 학습자가 틀릴 때마다 충격을 가하도록 강요되었으며, 충격 레벨은 각각 높아질수록 위험하다고 알려졌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교사들이 연구자의 지시를 따라 계속해서 전기 충격을 가하였습니다. 일부 교사들은 주저하거나 반대하기도 했지만 대다수는 복종하여 최고 레벨까지 전기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밀그램 실험 결과는 사회적 복종과 권위 구조에 대한 인간 행동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었습니다. 사회적 상황에서 개개인이 얼마나 멀리 나아갈 수 있는지와 얼마나 쉽게 다른 사람의 고통을 강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밀그램의 복종 실험은 윤리적 문제와 심리적 영향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참가자들은 정당한 동기 없이 고통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

 

1971년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심리학자인 필립 지멕스가 주도한 사회심리학 실험입니다. 이 실험 역시 권위와 권력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실험은 감옥 환경을 시뮬레이션하여 참가자들을 감옥 수감자와 간수 역할로 나누었고, 참가자들에게는 무작위로 역할이 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실험이 시작된 후 얼마 되지 않아 참가자들은 자신의 역할에 몰입하고 현실인 것처럼 행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수감자 그룹은 권위에 맞서기 위해 반란을 일으키고, 간수 그룹은 폭력적인 방법으로 질서를 유지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실험이 예상보다 폭력적이고 비인도적인 상황으로 변해가면서, 참가자들의 행동뿐만 아니라 연구진과 경비원 등 관여한 모든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도 변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실험은 예정보다 일찍 종료되었습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은 사회적 상황이 개개인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 실험 결과는 인간 복종과 권위 구조에 대한 이해를 증진했으며, 집단 내에서 동일한 상황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았을 때 개개인의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스탠퍼드 감옥 실험 역시 윤리적 문제와 공격성 증대 등 부작용으로 비판받기도 하였습니다.

 

마시멜로 실험 (Stanford marshmallow experiment)

 

이 실험은 스탠퍼드 대학교 심리학자 월터 미셸(Walter Michel) 교수와 그의 연구팀이 1970년대 초반 어린 유아(4~6세)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자제력과 지체된 만족감의 개념을 탐구하고 어린아이들의 자제력 발달과 장기적인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실험 참가자로서 유아들은 개별적으로 실험실로 초대되었고 각 유아는 탁자 위에 마시멜로 한 개가 놓인 상태에서 연구자와 함께 남겨져 있습니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선택을 제시합니다: "선생님이 15분 정도 나갔다 올 건데 그때까지 먹지 않고 기다린다면 마시멜로 1개를 더 주겠어." 하지만 일부 아동은 선생님이 나간 즉시 마시멜로를 먹었고, 다른 일부는 15분 정도 기다렸다가 보상으로 마시멜로를 한 개를 추가로 받았습니다.

 

마시멜로 실험 결과는 자제력(self control)이 상당히 어린 나이에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성장하면서 삶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과 유아기에 형성된 추론 능력은 향후 개인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알려주었습니다. 또 자제력 있는 행동 및 목표 설정, 당장의 만족보다 장기적인 이익 추구 등이 인간의 발달과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마시멜로 실험 결과는 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되는데 주로 자제력 훈련 프로그램 및 학습 전략 개발 등에 응용됩니다.

하지만 이 실험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마시멜로를 빨리 먹은 것은 인내심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15분 뒤에 돌아와서 마시멜로 하나를 더 주겠다는 말을 믿지 못해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마시멜로 실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신뢰도에 관한 것에는 이견은 없는 듯합니다.

 

비판

 

심리실험은 인간 행동과 심리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비판점도 존재합니다.

 

  • 첫째, 실험 환경의 인위성: 실험은 현실 세계에서 벗어난 인위적인 환경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실제 상황에서의 행동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실험 결과를 현실에 일반화하는 데 제약을 줄 수 있습니다.
  • 둘째, 샘플링 편향: 많은 실험이 대학생이나 특정 인구 그룹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 전체를 대표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 결과의 외연적 타당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셋째, 윤리적 문제: 일부 실험이 참가자들에게 정신적 불쾌감이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따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는 참가자의 복지와 권익 보호를 위해 신중한 접근과 고려가 필요합니다.
  • 넷째, 외부 타당성의 한계: 실험이 관찰된 결과만으로 사회 현상 전체를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사회 및 문화적 요소 등 다양한 변수들이 상호작용하여 개별 실험 결과를 넓은 맥락에서 해석해야 합니다.
  • 다섯째, 연구자 편견: 연구자 자신의 선입견이 연구 설계와 실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결과 해석과 보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관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과학적 객관성을 저해할 수도 있습니다.

심리실험이라는 독특하고 복잡한 주제로서 이러한 비판점들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비판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론과 접근법의 조합, 철저한 윤리 지침을 준수하여 실험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겪게 될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보완되어야겠습니다.